원격지원 대기 포트란?

 처음 작성일 : 2013-03-19 13:43  , 마지막 수정일 : 2013-04-25 17:59

 

원격지원 업무를 하기 위해서는 상담원의 컴퓨터와 고객 간에 컴퓨터 통신이 이루어져야 합니다.

컴퓨터 통신에 필요한 정보는 아이피와 포트번호입니다.

아이피는 콤비가 자동으로 찾아 설정합니다만 포트번호는 유동 아이피의 경우 인터넷 공유기의 설정과 관련이 있어 자동 설정이 되지 않습니다. (고정 아이피를 쓰는 컴퓨터이더라도 포트번호는 직접 입력해야 함)

 

 

1. 고정 아이피 컴퓨터에서 포트 설정 방법

 

고정 아이피는 컴퓨터 1대당 1개의 고유 아이피가 할당되기 때문에 인터넷 공유기 설정과 관계없이 포트번호만 적어주면 됩니다.

특히 고정 아이피 컴퓨터에서는 모든 컴퓨터의 포트번호가 같아도 상관없습니다.

포트 번호를 6000 번 이상으로 입력하시고 다른 프로그램에서 사용하지 않는 유일한 번호를 입력하도록 하십시오.

예를 들어 6416 와 같은 식으로 입력하면 됩니다.

 

공유기를 사용하지 않고 단독으로 인터넷에 바로 연결된 컴퓨터 (사무실에서 1대의 컴퓨터만 사용하는 경우)도 고정 아이피와 같이 포트번호를 바로 적으면 됩니다. (외부 아이피를 자기 혼자 씀으로)

 

 

2. 유동 아이피 컴퓨터에서 포트 설정 방법 (일반적인 초고속 인터넷과 공유기를 사용하는 곳)

 

유동 아이피 컴퓨터란 외부 아이피와 내부 아이피(사설 아이피라고 함)가 다른 경우를 말합니다.

실제로 외부 아이피가 자주 변할 수도 있고 고정 아이피 하나가 들어와서 내부는 공유기로 여러대 컴퓨터가 물린 경우도 유동 아이피 컴퓨터로 칭합니다.

예를 들어 외부 아이피는 211.152.225.145 와 같은 식이고 내 컴퓨터의 아이피는 192.168.0.10 와 같이 되어 있는 컴퓨터들은 모두 유동 아이피 컴퓨터입니다.

이런 환경에서 외부 통신은 공유기의 포트 포워딩이라는 설정을 통해 특정 포트가 자신의 컴퓨터로 향하도록 설정해 주어야 통신이 가능합니다.

즉, 10대의 컴퓨터가 있다면 외부에서 봤을 때 10대 모두 아이피는 (예를 들어) 211.152.225.145로 같게 보이기 때문에 그 10대 중 특정 한대와 통신하려면 그 특정 한대를 지목하는 포트 포워딩이라는 설정을 하고 그 특정 한대에서 해당 포트를 열고 대기하면 통신이 가능하게 됩니다.

때문에 유동 아이피 컴퓨터에서는 원격지원 대기 포트를 각 컴퓨터 모두 다르게 설정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A 컴퓨터의 원격지원 대기포트를 6416 으로 설정했다면 B 컴퓨터는 6420 와 같이 번호를 몇개 점프 해서 설정해야 합니다.

번호를 몇개 점프하는 이유는 콤비 원격지원 대기 프로그램은 다중 실행이 가능하고 다중 실행 시 원격지원 대기포트 +1 한 포트로 대기하기 때문입니다.

(다중 실행이란 원격지원 대기 프로그램을 여러개 동시에 실행가능하다는 의미이며 이렇게 여러개 동시에 실행 가능해야 고객과 원격지원 시 다른 컴퓨터와 연관된 문제도 한 상담원이 처리할 수 있게 됩니다.)

 

 

인터넷 공유기에서 포트 포워딩 설정 방법

 

각 공유기 제조사 마다 포트 포워딩 설정하는 방법과 기능이 다소 차이가 있어 설명이 어렵기는 합니다만 기본 원리를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1) 인터넷 공유기의 IP 찾기

인터넷 공유기도 통신 장비이기 때문에 자신의 IP를 가지고 있습니다.

공유기의 IP를 찾아 웹브라우저의 주소 입력 난에 그 IP를 입력하면 공유기 설정 화면으로 들어갈 수 있습니다.

공유기의 IP를 찾으려면,

윈도 시작 단추 -> [실행..] 을 선택한 후 cmd 입력 후 엔터 칩니다.

검은 색 명령 프롬프트 창이 뜨며 거기서 ipconfig 입력 후 엔터 칩니다.

그러면 몇가지 IP가 표시되는데 현재 컴퓨터의 IP와 Default Gateway (기본 게이트웨이) IP가 표시됩니다.

기본 게이트웨이 IP가 바로 공유기 아이피이며 이 IP를 웹부라우저 주소 입력 난에 입력 후 엔터 치면 공유기 설정 화면이 표시됩니다.

 

2) 공유기 페이지에서 포트 포워딩 설정하기

공유기 마다 포트 포워딩 설정 방법이 다르기 때문에 자세한 설명은 어려워 원리만 설명드립니다.

포트 포워딩은 특정 포트가 특정 컴퓨터를 가리키도록 설정하는 것입니다.

사무실에 10대의 컴퓨터가 있고 이 모든 컴퓨터에서 원격지원 업무를 다 한다고 가정하면,

각 컴퓨터에 연속된 번호 4개 정도를 할당합니다.

예를 들어 A 컴퓨터의 IP가 192.168.0.5 라면,

6416 번이 192.168.0.5 를 가리키도록,

6417 번도 192.168.0.5 를 가리키도록,

6418 번도 192.168.0.5 를 가리키도록,

6419 번이 192.168.0.5 를 가리키도록 설정합니다.

이렇게 연속된 번호 4개 정도가 같은 컴퓨터를 가리키도록 합니다.

 

이해를 돕기 위해 B 컴퓨터의 IP가 192.168.0.6 이라면 B 컴퓨터는 A 컴퓨터 번호 이후 번호로 설정합니다.

6420 번이 192.168.0.6 를 가리키도록,

6421 번도 192.168.0.6 를 가리키도록,

6422 번도 192.168.0.6 를 가리키도록,

6423 번이 192.168.0.6 를 가리키도록 설정합니다.

이렇게 연속된 번호 4개 정도가 같은 컴퓨터를 가리키도록 합니다.

 

이렇게 모든 컴퓨터의 포트 포워딩 설정을 합니다.

 

3) 각 컴퓨터의 첫 번째 포트 번호를 콤비의 원격지원 대기포트에 입력하기

 

위와 같이 설정한 후 각 컴퓨터의 첫번째 번호를 상담원 관리 화면의 "원격지원 대기 포트"에 입력해 둡니다.

IP와 상담원의 이름을 매칭할 수 있도록 각 상담원 이름을 클릭하면 화면 우측 "상태" 난 옆에 해당 상담원의 IP도 함께 표시됩니다.

각 상담원의 IP와 포트포워딩으로 설정한 IP에 맞게 첫번째 번호를 대기 포트 입력 난에 적어 줍니다.

 

설명도 길지만 실제로 설정해 보면 다소 어려울 수 있습니다.

잘 모르는 경우 콤비 로그인 화면에서 [원격지원 요청하기]해서 요청해 주시면 아는 데 까지는 도와드리도록 하겠습니다.